지역교체1 [OS] 08. 가상메모리 운영체제는 메모리의 연장 공간으로 디스크의 스왑 영역을 사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운영체제는 프로그램이 물리적 메모리를 고려할 필요 없이 자기 자신만이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처럼 가정해 프로그램하는 것을 지원한다. 프로그램은 0번지부터 시작하는 자기 자신만의 메모리 주소 공간을 가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메모리 공간을 가상메모리(virtual memory)라고 부른다. 즉 가상 메모리는 프로세스마다 각각 0번지부터의 주소 공간을 가지게 되며, 이들 공간 중 일부는 물리적 메모리에 적재되고 일부는 디스크의 스왑 영역에 존재하게 된다.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을 메모리로 적재하는 단위에 따라 가상메모리 기법은 요구 페이징 방식과 요구 세그먼테이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는 요구 페이징 방식을 사용한.. 2022. 1.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