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Network10

[Network] DNS란?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 DNS) DNS는 인터넷 전화번호부와 같다. 사람은 naver.com이나 google.com과 같은 도메인 이름을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한다. DNS는 브라우저가 인터넷 자원을 로드할 수 있도록 해당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192.168.1.0과 같은)로 변환한다. 사람은 숫자와 영문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IP 주소를 기억하지 않고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통해서 서버에 접속한다. DNS는 이러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고 라우팅 정보를 제공하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DNS 용어 재귀적 질의(Recursive Query) - 사용자 호스트가 Recursive 네임서버로 질의할 때 사용되는 방식으로 Recursive 네임서버로 대.. 2021. 12. 9.
[Network] 08. 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살펴보기 랜 카드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 웹 사이트에 방문했을 때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데이터 처리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네트워크의 구성 OSI 모델 상위 응용 계층부터 하위 물리 계층까지까지 각각 어떤 일이 나는지 살펴보자. 응용 계층(세션 계층과 표현 계층을 포함) -> 애플리케이션 등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 필요하다 전송 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데 필요하다 네트워크 계층 ->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필요하다 데이터 링크 계층 -> 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 필요하다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데 필요하다 컴퓨터의 데이터가 전기 신호로 변환되는 과정 위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에서 컴퓨터의 웹 브라우저에서 URL을 입.. 2021. 12. 8.
[Network] 07. 응용 계층 :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하기 응용 계층의 역할 OSI 모델의 응용 계층의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자. 응용 계층의 역할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를 요청하는 측인 클라이언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인 서버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나 메일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에 해당하고, 웹 서버 프로그램이나 메일 서버 프로그램은 서버에 해당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응용 계층에서 동작한다(해당 글에서 응용 계층은 5계층인 세션 계층과 6계층인 표현 계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응용 계층에서는 사용자 측(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전달하기 위해 통신 대상(서버 등)이 이해할 수 있는 메시지(데이터)로 변환하고 전송 계층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클라이언트 측 애플리케이션이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하려면 응용 계층의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한.. 2021. 12. 6.
[Network] 06. 전송 계층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 전송 계층의 역할 네트워크 계층이 하는 역할이 있는 것처럼 전송 계층도 하는 역할이 있다. 전송 계층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자. 전송 계층의 두 가지 역할 라우터의 라우팅 기능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목적지에 도착하지 못할 수도 있다. OSI 7계층 모델에서 전송 계층은 목적지에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하다. 전송 계층에는 오류를 점검하는 기능이 있다. 오류가 발생하면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요청한다. 또한 전송된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 식별하는 기능도 있다. 연결형 통신과 비연결형 통신 전송 계층의 특징은 신뢰성/정확성과 효율성이다. 신뢰성/정확성 : 데이터를 목적지에 문제없이 전달하는 것 (연결형 통신) 효율성 : 데이터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 (비연결형.. 2021. 12. 4.
[Network] 05. 네트워크 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 네트워크 간의 연결 구조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달하려면 OSI 7계층에서 3 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의 기술이 필요하다. 즉,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은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계층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라우터(router)라는 네트워크 장비가 필요하다. 라우터는 데이터의 목적지가 정해지면 해당 목적지까지 어떤 경로로 가는 것이 좋은지를 알려 주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데이터를 보내려는 상대가 어디에 있는지 모르면 라우터도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알려주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보내려면 목적지 주소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이럴 때 사용하는 주소를 IP(Internet Protocol) 주소라고 한다. .. 2021. 12. 1.
[Network] 04. 데이터 링크 계층 :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과 이더넷 이더넷이란 랜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으려면 OSI 7계층의 두 번째 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술이 필요하다. 데이터 링크 계층은 네트워크 장비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으로, 랜에서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주고받기 위해 필요한 계층이다. 그 규칙들 중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규칙이 이더넷(Ethernet)이다. 이더넷은 허브와 같은 장비에 연결된 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한다. 허브는 이전 포스팅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데이터를 주고 받는 컴퓨터 외에도 허브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에게도 데이터가 전송된다. 이를 위해 데이터에 목적지 정보를 추가해서 보내고 목적지 이외의 컴퓨터는 데이터를 받더라도 무시하게 되어 있다. 허브는 들어온 데이터를 그래도.. 2021. 1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