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Network10

[Network] 03.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물리 계층의 역할과 랜 카드의 구조 전기 신호란? 0과 1만으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려면 OSI 7계층의 가장 아래 계층인 물리 계층의 기술이 필요하다. 컴퓨터는 0과 1만 이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는 0과 1의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해야 한다. 전기 신호의 종류에는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가 있다. 아날로그 신호 : 연속되는 값을 표시하는 신호로, 전화 회선이나 라디오 방송에 사용되는 신호 디지털 신호 : 전기적인 두 가지 상태(0과 1)로만 표시하는 신호 데이터 송신 측 컴퓨터가 전송하는 0과 1의 비트열 데이터는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측 컴퓨터에 도착한다. 수신 측 컴퓨터에서는 전기 신호를 0과 1의 비트열 데이터로 복원한다... 2021. 11. 30.
[Network] 프로토콜 데이터 통신에서 데이터를 교환할 때 이를 원활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놓은 여러 가지 통신규칙이나 방법 프로토콜의 3가지 구성 요소 프로토콜은 구문(syntax), 의미(semantic), 타이밍(timing)으로 구성되어 있다. 1. 구문(syntax) : 데이터의 형식이나 부호화 및 신호 레벨을 규정한 것 송수신 데이터의 포맷이나 문법과 같은 형식적인 측면을 의미한다. 사람들끼리의 의사소통에서도 정해진 문법과 규칙을 따라야만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문법과 규칙을 벗어난 말은 상대방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데이터 통신에서도 이는 마찬가지다. 데이터를 보내고 받는 쪽 모두 데이터에 대한 공통된 형식을 공유하고 있어야 데이터의 원활한 교환이 가능하다. 2. 의미(semantic) : 전송의 .. 2021. 11. 25.
[Network] 02. 네트워크의 기본 규칙 네트워크의 규칙 프로토콜(protocol) 컴퓨터끼리나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와 같이 정보기기 간에 정보교환이 필요한 경우 이를 원활하게 교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 통신규칙과 방법의 집합을 의미한다. 상호 간에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을 신뢰성이 유지되도록 표현하는 방식이다. 같은 통신 규약(communication protocol)을 사용하면 기종과 모델이 달라도 컴퓨터 상호 간에 통신할 수 있게 되고, 각각의 컴퓨터상에서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더라도 컴퓨터 사이에서 데이터의 의미를 일치시켜 프로그램을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OSI 모델과 TCP/IP 모델 OSI 모델이란? (개방형 시스템 상호 연결) 다양한 통신 시스템이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국제 표준화 기구.. 2021. 11. 25.
[Network] 01. 네트워크 기초 네트워크의 구조 네트워크 컴퓨터들 간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여러 대의 컴퓨터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사전에 연결된 망을 의미.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간에 필요한 데이터(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패킷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정해 놓은 규칙으로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을 말한다. 그렇다면 데이터를 한 번에 보내지 않고 작게 나누는 이유는 무엇일까? 큰 데이터를 그대로 보내면 해당 데이터가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너무 많이 차지해 패킷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누어 보내는 것이다. ※ 대역폭 :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단위 시간당 전송량 랜과 왠 랜(LAN, Local A.. 2021. 11. 25.